트럼프 취임? 얼마나 큰 영향이 올까? 나도 너무 궁금해!
24년 11월 6일, 미국 대통령 개표 방송에서 트럼프가 당선되고 난 현재, 한국 시간 새벽 2시(미국 시간 20일 낮 12시) 트럼프가 제 47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아침에 뉴스 헤드라인이나 이런 것들을 종종 보는데, 역시나 트럼프 이야기가 절반이 넘고, 나머지 30%는 윤대통령 이야기, 그리고 나머지는 사회 이슈 관련이었다.
우선 오늘 나온 기사 위주로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들이 눈에 띄었다. (아무래도 전자공학과라서, 반도체와 전기차 내용이 위주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648/0000032656
[트럼프 2.0]①반도체, 트럼프 앞 풍전등화…돌파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가 20일(현지시각) 시작됐다. 취임 전부터 세계 경제를 향해 으름장을 놓은 트럼프 대통령의 재등장에 전 세계가 긴장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마찬가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123/0002351435
트럼프 '국가에너지 비상사태' 선포…美생산·수출 확대 예고에 유가 1%↓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취임 첫날인 20일(현지시간) 미국의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을 확대하고 소비자 비용을 낮추기 위한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국제유가가 1%
n.news.naver.com
https://www.nocutnews.co.kr/news/6280930
한국 산업계 "나 떨고 있니?"…트럼프 2기 출범에 초긴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시작됐다.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첫날 발효할 행정명령이 100건에 육박한다면서 '충격과 공포'를 예고했다. 1기 때보다 더
www.nocutnews.co.kr
마지막 기사에서 볼만한 내용은 아래 표 인 것 같다. (다만 기사에서 제공하는 자료이므로, 맹신하지 말것)
직접적으로 분석한 YTN의 기사에서 따온 자료로, 산업 연구원에서 분석한 자료이다.
https://www.ytn.co.kr/_ln/0102_202501140631563781
트럼프 2기 '무역장벽' 현실로...한국 산업 영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이 이제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1기 때보다 더한 '보호무역주의'가 기정사실화하고 있는 만큼 정부와 산업계는 바짝 긴장...
www.ytn.co.kr
https://www.youtube.com/watch?v=UytTakHCEqA&t=50s
유튜브 영상도 있으니, 편하게 봐도 좋을듯.
그러면서 드는 생각은, 아마 작년 트럼프 저격사건 이후로 준비를 한 기업들이 많을 것 같다. 아무래도 그 사건이 임팩트가 강했고, 그로인해 나온 사진이나 뉴스 기사가 많아, 대다수가 그 시점부터 준비를 했을 것 같다. (사실 준비 안 했으면 거기는 이제 외교 산업과 수출 산업에 대비가 안 된 회사니까.. 미래가 없다고 보는게 좋지 않을까? 라고 할 뻔 ㅎㅎ)
https://www.mk.co.kr/news/business/11182915
투자 축소하고 채용 줄이고 … 재계 "트럼프 2기로 악영향" 82% - 매일경제
경총, 239社 경영환경 설문"내년 긴축경영 하겠다" 응답중기보다 대기업이 더 많아
www.mk.co.kr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112514029
충북 내 기업 “트럼프 취임 뒤 기업활동 어려울 듯”
충북 지역 기업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취임 후 기업활동 등에 어려움을 전망했다. 12일 충북도 위탁으로 충북연구원이 조사한 기업환경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내 기
www.segye.com
이런 뉴스를 보면, 아마 취업 시장은 문이 더 좁아지지 않을까 예상중이다.(아무리 30인 이상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기업은 기업이다. 생각이 드라마틱하게 차이나지는 않을 것이다)
최근 윤 대통령의 계엄령으로 인한 시장 악화, 해외 투자자의 불안감 증가, 거기에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으로 인한 수출 축소까지.. 돈 들어올 구멍이 더 좁아진 것 같다.
그러니, 취업 준비생들에게는 좁디 좁은 취업문인 대기업, 준대기업 취직을 목표로 하는 것이 더 힘들어 질 것이다. 상황이 더 악화되면서 불안감이 커지니, 안정적인 기업을 들어가는 것을 희망하게 되는 것.
나 같은 경우엔, 내가 우선 잘 해야한다는 생각이 크다. 일단 내가 어느 분야던 배우고 전문가가 되어, 그 전문가로서 역량을 최대한 펼쳐야 한다는 생각이다. 그러니 일단 최선을 다해 찾아보고 취업 문을 열어봐야지.